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Duty Free & Tax Free 차이점

by 아무나. 2025. 4. 16.
반응형

해외여행을 하다 보면 공항이나 시내에서 Duty FreeTax Free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두 개념 모두 면세와 관련이 있지만, 적용 방식과 대상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Duty Free와 Tax Free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1. Duty Free란?

Duty Free(듀티 프리)관세 및 소비세가 면제된 상품을 판매하는 면세점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공항의 출국장 면세점이나 시내 면세점에서 볼 수 있으며, 해외로 출국하는 여행객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Duty Free의 특징

  • 관세 및 소비세 면제: 수입품의 경우 관세와 소비세(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담배소비세 등)가 부과되지 않음.
  • 출국하는 여행객만 구매 가능: 내국인이라도 해외로 출국하는 경우에만 이용 가능.
  • 보세판매장 개념: 세금이 부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판매되는 상품으로, 출국 후 사용을 전제로 함.

 

해외여행 시 보고도 헷갈리는 듀티프리와 택스프리의 차이

 

해외여행 시 보고도 헷갈리는 듀티프리와 택스프리의 차이

해외여행 시 보고도 헷갈리는 듀티프리와 택스프리의 차이 | 해외여행 시 평소 구입하고 싶던  물건을 세금이 면제된 가격으로 구매하고자 많은 사람들이 면세 쇼핑 리스트를 작성하곤 합니다.

brunch.co.kr

 

2. Tax Free란?

Tax Free(택스 프리)소비세(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등)만 면제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이 국내에서 쇼핑할 때 적용되며, 구매 후 세금을 환급받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Tax Free의 특징

  • 소비세만 면제: 관세는 포함되며, 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만 환급 가능.
  • 외국인 대상: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으며, 외국인이 출국할 때 세금을 돌려받는 방식.
  • 사후 면세 방식: 구매 시 세금을 포함한 가격을 지불한 후, 출국장에서 환급받는 형태.

 

3. Duty Free와 Tax Free의 주요 차이점

구분 Duty Free Tax Free
면제되는 세금 관세 + 소비세 소비세(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이용 대상 출국하는 여행객 외국인 관광객
구매 방식 세금이 부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 구매 후 출국 시 세금 환급
대표 장소 공항 면세점, 시내 면세점 일반 상점, 백화점 등

 

4. Duty Free & Tax Free 활용 팁

  • Duty Free는 출국 전 미리 구매해야 함: 공항 면세점에서 구매한 상품은 출국 후 사용을 전제로 하므로, 국내에서 사용할 수 없음.
  • Tax Free는 환급 절차를 확인해야 함: 외국인은 구매 후 공항의 Tax Refund 창구에서 세금을 환급받아야 하므로, 영수증을 잘 보관해야 함.
  • 면세 한도 확인 필수: 각국의 면세 한도를 초과하면 세금을 추가로 납부해야 하므로, 구매 전에 한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Duty Free와 Tax Free는 모두 면세 혜택을 제공하지만, 적용 방식과 대상이 다릅니다. Duty Free는 출국하는 여행객이 관세와 소비세가 면제된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 Tax Free는 외국인이 소비세를 환급받는 방식입니다. 면세 쇼핑을 계획하고 있다면, 두 개념의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