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아의 정상적인 자세는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두위(두정위)입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 태아가 엉덩이나 다리가 아래로 향하는 역아(둔위)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아는 전체 임신의 약 5%에서 발생하며, 분만 시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역아의 주요 원인
- 다태아 임신: 쌍둥이 이상의 다태아 임신에서는 자궁 내 공간이 제한되어 태아가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려워 역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양수과다증: 양수의 양이 과도하면 태아가 자궁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역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전치태반: 태반이 자궁 출구에 매우 근접하거나 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인 전치태반은 태아의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것을 방해하여 역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자궁 기형: 자궁의 구조적 이상이나 기형은 태아의 위치에 영향을 미쳐 역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골반 협착: 산모의 골반이 좁거나 비정상적인 형태를 가질 경우, 태아가 정상적인 자세로 회전하기 어려워 역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미숙아: 임신 기간이 짧아 태아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한 경우, 자궁 내에서의 위치 조절이 어려워 역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다산 이력: 이전 임신에서 둔위로 출산한 경험이 있는 경우, 다음 임신에서도 역아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 자궁의 과도 팽창: 다양한 원인으로 자궁이 과도하게 팽창하면 태아가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려워져 역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위험률 높은 둔위(역아)태아 자연분만 성공!
둔위는 자궁 내에서 태아의 위치가 엄마처럼 머리는 자궁 위쪽에 있고 둔부(엉덩이)가 아래쪽에 있는 상태를 뜻한다. 둔위는 태아의 이상 태위 중 그 빈도가 제일 높으며 분만 중 태아손상을 일
www.hani.co.kr
역아의 위험성
역아 상태에서 분만을 진행하면 태아의 머리가 산도에 끼어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머리와 골반 사이에 탯줄이 끼어 산소 공급이 중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역아의 교정 방법
역아 상태에서 분만을 진행하기 전에, 의료진은 역아를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에는 산모의 자세 변화, 물리치료,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역아회전술(둔위교정술)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없으며, 태아와 산모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태아의 역아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분만 시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태아의 위치를 확인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