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아 역아 둔위 원인

by 아무나. 2025. 2. 17.
반응형

태아의 정상적인 자세는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두위(두정위)입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 태아가 엉덩이나 다리가 아래로 향하는 역아(둔위)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아는 전체 임신의 약 5%에서 발생하며, 분만 시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역아의 주요 원인

  1. 다태아 임신: 쌍둥이 이상의 다태아 임신에서는 자궁 내 공간이 제한되어 태아가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려워 역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양수과다증: 양수의 양이 과도하면 태아가 자궁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역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전치태반: 태반이 자궁 출구에 매우 근접하거나 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인 전치태반은 태아의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것을 방해하여 역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자궁 기형: 자궁의 구조적 이상이나 기형은 태아의 위치에 영향을 미쳐 역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골반 협착: 산모의 골반이 좁거나 비정상적인 형태를 가질 경우, 태아가 정상적인 자세로 회전하기 어려워 역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미숙아: 임신 기간이 짧아 태아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한 경우, 자궁 내에서의 위치 조절이 어려워 역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7. 다산 이력: 이전 임신에서 둔위로 출산한 경험이 있는 경우, 다음 임신에서도 역아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8. 자궁의 과도 팽창: 다양한 원인으로 자궁이 과도하게 팽창하면 태아가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려워져 역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위험률 높은 둔위(역아)태아 자연분만 성공!

 

위험률 높은 둔위(역아)태아 자연분만 성공!

둔위는 자궁 내에서 태아의 위치가 엄마처럼 머리는 자궁 위쪽에 있고 둔부(엉덩이)가 아래쪽에 있는 상태를 뜻한다. 둔위는 태아의 이상 태위 중 그 빈도가 제일 높으며 분만 중 태아손상을 일

www.hani.co.kr

 

역아의 위험성

역아 상태에서 분만을 진행하면 태아의 머리가 산도에 끼어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머리와 골반 사이에 탯줄이 끼어 산소 공급이 중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역아의 교정 방법

역아 상태에서 분만을 진행하기 전에, 의료진은 역아를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에는 산모의 자세 변화, 물리치료,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역아회전술(둔위교정술)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없으며, 태아와 산모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태아의 역아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분만 시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태아의 위치를 확인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