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 뜻과 의미, 유래

by 아무나. 2025. 9. 16.
반응형

속담은 짧지만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 세대를 넘어 전해집니다. 그중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는 우리 생활 속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사람의 본능적 욕구나 습관을 재치 있게 드러냅니다. 이 속담은 단순한 비유를 넘어, 인간 심리와 행동 패턴을 잘 보여주는 말입니다.

 

뜻과 의미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는 좋아하는 것, 혹은 관심 있는 것을 그냥 지나칠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직접적 의미: 참새는 방앗간 앞을 지나가면 곡식 냄새에 이끌려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 비유적 의미: 사람도 자신이 좋아하거나 탐나는 것을 보면, 의도치 않게 관심을 보이거나 행동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 활용 예시:
    • “그분이 또 세일 소식을 듣고 달려갔대요.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
    • “맛집 앞을 지나가는데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 결국 들어갔죠.”

 

유래

이 속담은 농경 사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마을마다 방앗간이 있었고, 곡식을 찧거나 빻는 과정에서 쌀겨나 곡식 부스러기가 주변에 흩어졌습니다. 참새들은 그 냄새와 먹이를 찾아 방앗간 주변을 맴돌았고, 실제로 방앗간 앞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거의 없었습니다. 이러한 모습을 본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사람의 심리를 빗대어 속담으로 만든 것입니다.

 

영어 표현

이 속담을 영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으므로, 비슷한 의미를 가진 영어 속담이나 관용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Like a moth to a flame: 불빛에 이끌리는 나방처럼, 저항할 수 없이 끌린다는 의미
  • Can't resist the temptation: 유혹을 참을 수 없다는 의미
  • Go where the action is: 흥미로운 일이 있는 곳으로 가게 된다는 의미

예문:

  • He saw the dessert table and, like a moth to a flame, he went straight for it.
  • She can't resist the temptation of a good bargain.

 

[ 초등속담 팩트체크 ]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 < 우리 말 · 속담 · 사자성어 < 학습 < 기사본문 - 소년한국일보

 

[ 초등속담 팩트체크 ]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 - 소년한국일보

방앗간은 곡식을 찧거나 빻는 곳이에요. 곡식을 좋아하는 참새가 방앗간을 찾듯,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보고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는 뜻이에요.

www.kidshankook.kr

 

비슷한 속담

한국어 속담 중에서도 의미가 유사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를 잡는다: 관심 있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그곳으로 가야 한다는 의미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직접적인 유사성은 없지만, 상황에 따른 인간 심리를 표현하는 속담
  • 고양이 앞에 쥐: 강한 유혹이나 두려움 앞에서 어쩔 수 없는 상황을 나타냄
  • 꿀 앞에 벌: 달콤한 유혹 앞에서 본능적으로 끌리는 모습을 표현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랴”는 단순히 참새와 방앗간의 관계를 묘사한 것이 아니라, 사람이 좋아하는 것 앞에서 보이는 자연스러운 반응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이 속담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쓰이며, 쇼핑, 음식, 취미, 인간관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머와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