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하리의 창 마음의 4가지 창

by 아무나. 2025. 3. 11.
반응형

조하리의 창(Johari's Window)은 개인의 자기 이해와 대인관계 개선을 돕는 심리학적 모델로, 미국의 심리학자 조셉 루프트(Joseph Luft)와 해리 잉햄(Harry Ingham)이 개발했습니다. 이 모델은 개인의 마음을 네 가지 창으로 나누어 자신과 타인의 관점에서 자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을 더 잘 알고,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1. 조하리의 창의 네 가지 영역

조하리의 창은 가로축(자신이 아는지 모르는지)과 세로축(타인이 아는지 모르는지)을 기준으로 네 가지 영역으로 나뉩니다.

(1) 열린 창 (Open Area)

  • 특징: 자신도 알고 타인도 아는 영역입니다.
  • 예시: 이름, 나이, 성격의 일부 등.
  • 의미: 이 영역이 넓을수록 타인과의 소통이 원활하며 신뢰를 쌓기 쉽습니다.

(2) 가려진 창 (Hidden Area)

  • 특징: 자신은 알지만 타인은 모르는 영역입니다.
  • 예시: 비밀, 감정, 숨기고 싶은 약점 등.
  • 의미: 이 영역을 줄이고 타인과 공유하면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3) 맹목의 창 (Blind Area)

  • 특징: 타인은 알지만 자신은 모르는 영역입니다.
  • 예시: 무의식적인 습관, 타인이 지적하는 행동 등.
  • 의미: 피드백을 통해 이 영역을 줄이면 자기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4) 미지의 창 (Unknown Area)

  • 특징: 자신도 타인도 모르는 영역입니다.
  • 예시: 잠재력, 숨겨진 재능, 무의식적인 행동 등.
  • 의미: 새로운 경험과 자기 탐구를 통해 이 영역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내가 아는 나와 남이 아는 나, 조하리의 창 < 대인관계 < 관계 < 칼럼 < 기사본문 - 정신의학신문

 

내가 아는 나와 남이 아는 나, 조하리의 창 - 정신의학신문

정신의학신문 |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여러분에게 창문은 어떤 의미인가요? 많은 분들이 아침에 일어나면 가장 먼저 커튼을 열어젖히고 닫힌 창문을 여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시지 않

www.psychiatricnews.net

 

2. 조하리의 창 활용 방법

  • 자기 노출: 가려진 창을 줄이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타인과 공유하세요.
  • 피드백 수용: 맹목의 창을 줄이기 위해 타인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세요.
  • 자기 탐구: 미지의 창을 탐색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과 경험을 시도하세요.

 

3. 조하리의 창이 주는 교훈

조하리의 창은 단순한 심리학 이론을 넘어, 자기 이해와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열린 창을 넓히는 과정은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 나은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 모델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탐구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보세요. 조하리의 창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삶의 변화를 이끄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