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창섭의 단편 소설 "비 오는 날"은 한국 전쟁 후의 비극적인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전쟁으로 인해 삶이 무너진 두 젊은이의 이야기를 통해 전후의 무기력한 인간의 삶과 허무 의식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1. 작품 소개
"비 오는 날"은 한국 전쟁 중 피란지 부산에서 만난 두 젊은이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음울한 분위기와 비정상적인 인물이 등장하는 불구성을 통해 전후 문학의 상징적 의미를 집약시킨 것입니다. 전후의 무기력한 인간의 삶과 허무 의식을 주제로 한 전후 소설인 이 작품은 전후 상황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손창섭 '비 오는 날' 전문
비 오는 날 손창섭 이렇게 비 내리는 날이면 원구(元求)의 마음은 감당할 수 없도록 무거워지는 것이었다. 그것은 동욱(東旭) 남매의 음산한 생활 풍경이 그의 뇌리를 영사막1)처럼 흘러가기 때
wheregongbu.tistory.com
2. 등장인물 소개
- 원구: 임시 수도 부산으로 피란 온 대학원생으로, 친구 동욱을 회상하며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 동욱: 원구의 오랜 친구로, 불구 동생과 가난한 형편에서 생계를 유지합니다.
- 동옥: 동욱의 여동생으로, 소아마비로 인해 왼쪽 다리를 접니다. 감수성이 예민한 여자로, 전쟁으로 인해 삶이 크게 변했습니다.
3. 줄거리
비가 내리는 날, 원구는 친구 동욱을 회상합니다. 한국 전쟁 당시 임시 수도 부산에 피란 온 대학생 원구는 피난지 부산에서 잡화를 팔며 생계를 유지합니다. 그는 오랜 친구인 동욱의 집에 가 본 이후부터, 비가 내리는 날이면 그들 남매의 생각 때문에 마음이 우울해집니다.
동욱은 다리가 불구인 여동생 동옥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동욱은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목사 지망생이었지만 전쟁은 이들의 삶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동옥은 감수성이 예민한 여자로 소아마비로 인해 왼쪽 다리를 접니다. 원구는 우연히 동욱을 피난지에서 만나게 되었고, 이 남매의 상황을 알게 됩니다.
피란지에서 이들 남매는 미군을 상대로 초상화를 그려 생계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이들 남매는 초상화 벌이가 끊기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동욱과 동옥 남매는 초상화 벌이가 끊긴 것도 모자라 집주인에게 빌려준 돈과 전세금까지 떼여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됩니다. 얼마 뒤에 원구는 동욱의 집을 찾아가지만 그새 집의 주인은 바뀌어 있고, 동욱 남매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원구는 집의 새 주인으로부터 동욱은 십중팔구 군인으로 끌려갔을 것이며, 동옥이는 얼굴이 반반하니 어디 가서 몸을 판들 굶어 죽지는 않을 거라는 말을 듣게 됩니다. 이에 그는 동옥이 팔려갔다는 의심을 하고 분노합니다. 그러나 원구는 분노를 표출하지 못하고 무력하게 그냥 되돌아오게 됩니다. 이야기는 이렇게 끝이 납니다.
4. 작품의 배경과 상징
원구에게 동욱 남매의 삶은 항상 '비 오는 날'의 음울한 분위기와 결부됩니다. '비 오는 날'의 구질구질하고 눅눅한 배경의 삶은 전쟁 상황의 한가운데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더욱 음산하고 우울하고 어둡습니다. 그만큼 피란지 부산에서 동욱 남매의 삶은 지극히 비정상적이고 무기력하고 절망적입니다. 이 작품은 이렇게 배경을 통해 현실의 비극적인 점을 강조하고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비 오는 날"은 전쟁으로 인해 무너진 삶과 그로 인한 절망과 허무를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품입니다. 손창섭의 작품을 통해 전후의 비극적인 현실을 다시 한 번 되새겨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