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고등학교 입시 제도는 다양한 유형의 학교와 전형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기고, 후기고, 자사고, 자공고, 평준화, 비평준화 등 여러 용어가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각 용어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면 입시 준비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산의 고등학교 입시 제도와 관련된 주요 용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전기고
전기고등학교는 후기고등학교보다 먼저 입학 전형을 진행하는 학교들로, 주로 특수 목적이나 전문성을 가진 학교들이 포함됩니다. 전기고에는 과학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등이 있습니다. 전기고는 1개 학교만 지원 가능하며, 합격 시 후기고에 지원할 수 없습니다.
25학년도 고입 전형과 전기고, 후기고 의미
고등학교 입학은 크게 전기고와 후기고로 나누고 있으며, 각각 지원 방식과 일정이 다릅니다. 전기고, 후기고 의미와 지원 방법 1. 전기고 (전기학교) 전기고는 특수목적고(특목고),
em21.tistory.com
후기고
후기고등학교는 전기고 입학 전형이 끝난 후 남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전형을 진행하는 학교들입니다. 일반고, 외고, 국제고, 자율형사립고, 자율형공립고 등이 후기고에 해당됩니다. 후기고는 전기고와 달리 여러 학교에 지원할 수 있으며, 전기고 불합격 시 후기고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자사고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자사고)는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며, 다양한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자사고는 전국 단위 자사고와 지역 단위 자사고로 나뉘며, 전국 단위 자사고는 전국에서 지원할 수 있고, 지역 단위 자사고는 해당 지역에서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자사고는 학비가 일반고에 비해 비싸지만,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자공고
자율형 공립고등학교(자공고)는 공립학교 중에서 자율성을 부여받아 운영되는 학교들입니다. 자공고는 교육과정, 교원 인사 등에 자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의 교육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 운영됩니다. 자공고는 자사고와 달리 학비가 저렴하며, 공립학교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준화
평준화 지역에서는 고등학교 입학 전형이 추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학생들은 지망하는 학교를 선택하여 지원서를 제출하고, 컴퓨터 추첨을 통해 학교가 배정됩니다. 평준화 제도는 고교 간 격차를 줄이고,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비평준화
비평준화 지역에서는 학교별로 학생을 선발합니다. 학생들은 원하는 학교에 지원서를 제출하고, 학교는 중학교 내신 성적 등을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합니다. 비평준화 제도는 학교 간 경쟁을 유도하고,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부산의 고등학교 입시 제도는 다양한 유형의 학교와 전형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은 자신의 목표와 적성에 맞는 학교를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습니다. 각 용어의 의미와 특징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세워 입시 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