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장그래픽 활성화 비활성화 방법

by 아무나. 2025. 3. 6.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내장그래픽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내장그래픽은 CPU에 내장된 그래픽 처리 장치로, 외장 그래픽카드 없이도 기본적인 그래픽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사양 작업이나 외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내장그래픽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성능 최적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내장그래픽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BIOS/UEFI 설정 진입

내장그래픽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주로 BIOS 또는 UEFI 설정에서 이루어집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설정에 진입하세요:

  •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 부팅 시 DEL 키 또는 F2 키를 반복적으로 눌러 BIOS/UEFI 설정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메인보드 제조사에 따라 키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설정 화면에 진입하면 "Advanced" 또는 "Chipset Configuration" 메뉴를 찾습니다.

 

CPU 내장 그래픽 사용 시, 바이오스(Bios) 설정 및 다중 모니터 ...

 

CPU 내장 그래픽 사용 시, 바이오스(Bios) 설정 및 다중 모니터 활성화 방법

내장 그래픽 사용 이유는 하나의 컴퓨터로 두 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작업 시, 무거운 프로그램을 돌릴 때는 성능 좋은 외장 그래픽으로 사용하면서 비교적 가벼운 프로그램을 돌릴 땐 내장 그

e-rs.tistory.com

 

2. 내장그래픽 활성화/비활성화 설정

BIOS/UEFI 설정에서 내장그래픽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 ASUS 메인보드: "Advanced" > "System Agent Configuration" > "iGPU Configuration"으로 이동하여 "Enabled" 또는 "Disabled"로 설정합니다.
  • MSI 메인보드: "Settings" > "Advanced" > "Integrated Graphics Configuration"으로 이동하여 "IGD Multi-Monitor"를 설정합니다.
  • GIGABYTE 메인보드: "Settings" > "Advanced" > "Integrated Graphics Configuration"에서 설정을 변경합니다.
  • ASRock 메인보드: "Advanced" > "Chipset Configuration" > "IGPU Configuration"에서 "Enable" 또는 "Disable"로 설정합니다.

 

3. 장치 관리자에서 설정 변경 (Windows)

Windows 환경에서는 장치 관리자를 통해 내장그래픽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습니다:

  • Windows 검색창에 "장치 관리자"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을 확장합니다.
  • 내장그래픽 장치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디바이스 사용 안 함"을 선택합니다.

 

4.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 동시 사용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축하거나 특정 작업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그래픽 장치가 동시에 동작하면 성능 충돌이나 리소스 경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주의사항

  • 내장그래픽을 비활성화하면 외장 그래픽카드가 없는 경우 화면 출력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BIOS/UEFI 설정 변경 후 저장하고 재부팅해야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 설정 변경 중 문제가 발생하면 제조사 서비스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내장그래픽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을 참고하여 자신의 작업 환경에 맞는 그래픽 설정을 구성해 보세요!

반응형